Yeonjoo Cho
Wherever, Whatever (2017)
About Yeonjoo Cho’s Solo Exhibition, ‘Dream Journey’
Im-Lang, Art Critic & Novelist
Yeonjoo Cho has been working on the theme of 'A Journey' for 4-5 years. In her past works, she has depicted places that she has always wanted to visit, even though they do not exist in reality. However, this solo exhibition presents journeys to places that do exist, mainly inspired by the landscape paintings of the past.
Going on a non-physical journey
Travel, or journey, is an event that takes place based on physical movement through space. It is an act wherein the “I” who is the viewer leaves a familiar environment and stays for a while in an environment with a different language and culture. Cho’s journey does not involve physical travel. Perhaps she has taken the easiest and cheapest journey available. There is no hassle of packing or fatigue from moving. The physical body stays still in one place, and the imaginary body goes to some other place. This can be seen as a psychological journey. However, the burden of this trip is not easily carried, as Cho must also shed light on the substance of her experience and reveal its truth to others by displaying the journey in the context of her paintings.
What kind of journey does the artist go through on the screen?
The salient feature of this solo exhibition is its references to historic paintings. The departure points of Cho’s journey are to be found in landscape paintings that were created several hundred years ago: Guo Xi's “Jochun (早春)”; Gim Hondo’s “Balyeon (鉢淵)”, which features the image of Mt. Geumgang; Sim Sa-jeong’s “Samilpo(三日浦)”, “Sangeoyeolak (山居悅樂)”, and “Janglimwoonsan (長林雲山)”; and An Gyeon’s “Mandong (晩冬)”. For the casual viewer,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the original images of these old paintings unless you have a deep knowledge of art history. However, Cho’s work is not a conceptual approach based on the authority of the original works. Rather, the artist says she is fascinated by the paintings as landscape scenes in themselves.
What kind of journey does this artist go through? Immersed in the landscape, she has to reconstruct the world on her own terms. The course of her journey through the paintings goes through several stages of evolution.
First, she interposes objects and situations from her daily life into landscapes based on the original paintings. For example, the traditional tree shapes found in a quiet landscape painting are transformed in Cho’s work into images of the type of landscaped trees commonly found near apartment complexes, and the white spots seen in the original work are turned into the street lights at the city centre.
Secondly, the artist develops her own mythos by featuring mythic figures—like devils and angels in Hieronymus Bosch’s paintings—or adding the moon or a waterfall in her works. As the imagination goes deeper and the journey becomes more active, a figure who looks like the artist appears in the painting out of nowhere. The figure in Sim Sa-jeong’s “Samilpo (三日浦)”, for example, is enjoying skating on a frozen river.
Moreover, while the sense of experiencing seasons depicted in the painting is expressed vaguely in the original landscape paintings, it is reconstructed into a distinct sensual feeling of the season under Cho’s deft hands. The painting in the series that is referenced to Won Myeong-yu’s “Dowonchunsaek (桃源春色)”, for example, changed the original’s sense of the season by adding in trees with fully bloomed cherry blossoms. The painting that refers to An Gyeon’s “Mandong (晩冬)” also emphasizes the image of winter by drawing a pine tree covered with snow at its centre.
Thirdly, while the paintings in the series are quite similar to the images of the original at first glance, they are reconstructed in a way that adds a mysterious psychological atmosphere. In the painting that refers to Gim Hondo’s original “Balyeon (鉢淵)”, the pond at its centre is submerged into the ground like a huge sinkhole. The water flowing from the mountain falls down into the black hole and disappears. Our gaze becomes possessed by that black hole for a long while, and the hole gives us a suggestive feeling together with the somewhat darkened colour of the surrounding trees.
Is the artist prototypically copying (倣作) the master landscape artists’ works?
The artist mentioned the concept of prototypical copying (倣作) in her recent works. Prototypical copy (倣) is a method specific to oriental painting. It is a practice that helps to develop one’s own methods and style of painting while copying the works of the previous era multiple times. The famous painters of the Chosun Dynasty such as An Gyeon, Jeong Seon, and Gim Hongdo, developed their own styles through this process. ‘Replicating (摹)’ is a learning method that copies the original by putting a piece of paper on the original painting, and 'imitating (臨)’ is one that focuses on imitating the composition and brush stroke of the original at the side. ‘Prototypical copying (倣') is performed based on one’s own painting style acquired through these stages of replicating and imitating, the brushstrokes or painting style of a particular master. In other words, it is a creation that builds one’s own style based on the spirit of homage.
To apply such a concept to Cho Yeon Joo’s work is partly appropriate and partly inappropriate.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aterial used: unlike in oriental painting, the medium used in Cho’s work is oil paint. While the play of light and shade is an important part of East Asian ink painting, the touch of the brush and the trace of paints are characteristic of oil painting. However, it does not seem that she imitated the East Asian style at all. Rather, she seems to have tried to express the image of the original landscape painting as much as possible while using oil paints.
The second point concerns the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 landscape painting. To draw a landscape painting with an oriental view of nature is to have an experience in which the subject and the object become one. While Western-style landscape paintings see the object as something to be possessed and observed, East Asian landscape painters express an attitude of pursuing truth and the Way (道) in nature. Cho seems to want to pay homage to this spiritual aspect of oriental landscape painting as well as its attitude toward nature while maintaining a Western feel to her paintings. She has attempted in the current series to preserve the composition and the sense of nature of the original works in her reconstructed landscapes and suggested a way to reconstruct and revisit centuries-old paintings in a restrained manner that does not harm the power of the images or the beauty of the originals. If we consider the concept of prototypical copying (倣') to be based on the old masters’ such attitudes toward nature rather than their style, it seems possible to understand Cho’s works in terms of this concept.
Let’s go back to the story of the journey. Is the journey always pleasant and enjoyable? Do we return with only good memories? Rather, don’t we look back on the cruel truth, the harsh reality, and our own weakness and limitations that we were unable to do anything in the face of such truth in that scenery? If the journey is not ‘tourism’ after all, then the journey is nothing more than a long process of returning to ourselves. In other words, the reason we go on a journey is to find ourselves and to reflect on our hidden parts and shadows.
Artist Yeonjoo Cho has many more journeys ahead of her. Whether the first start is an impossible place or a spectacular view of Geumgangsan Mountain drawn by her predecessors, what we want to encounter is the emotions and perspectives projected onto the subject of artist Yeonjoo Cho. It should be something that clearly shakes us and makes us think. In this solo exhibition, I feel the signs of such a future journey. I hope it will draw us into a deep abyss like the black hole in Kim Hong-do’s “Balyeon (鉢淵)”.
<Late Winter>
어디가 되었든, 무엇이 되었든 (2017)
조연주 개인전 Dream Journey에 관하여
임랑 (미술평론가/소설가)
조연주 작가는 ‘여정’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4-5년간 작업해왔다. 지난 작품들은 자신의 마음 속에 떠오른 가고 싶은 곳, 그러나 현실에는 없는 곳을 그려왔다면 이번 개인전은 주로 과거의 산수화를 참조하여 가고 싶은 여정의 장소를 재현하였다.
비물리적인 여행을 떠나다
여행, 혹은 여정이란 물리적인 장소의 이동을 기반으로 하여 진행되는 사건이다. 주체인 나-자신이 일상적이고 익숙한 환경을 떠나 새로운 언어와 문화를 살아가는 색다른 환경 속에서 일정 기간을 머무는 행위이다. 낯선 세계라는 ‘자극’은 우리에게 자신이 처한 문화나 삶의 태도, 습관 등을 일깨우며 긴장감을 일깨우고 익숙지 않은 문법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극도의 아드레날린이 분비되는 묘한 흥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여행이란 일상에서는 쉽게 주어지지 않는 자극을 인위적 혹은 자의적 선택에 의해 얻는 것이다.
그렇다면 여행, 혹은 여정이 굳이 색다른 장소로의 이동에서만 얻어지는 경험일까. 강력한 자극, 혹은 완벽하게 구성된 자극은 아닐지라도 사실 이러한 자극은 일상 속에서도 충분히 얻어질 수 있다. 다만 우리는 그것을 섬세하게 느끼는 ‘감성’과 다르게 보려는 ‘시선’이 부족하다.
조연주 작가의 여정은 물리적인 여정을 동반하지 않는다. 작가는 어쩌면 가장 손쉽고 값싼 여정을 진행하는지도 모르겠다. 짐을 싸야 하는 번거로움도 이동의 피곤함도 없다. 신체는 여전히 한 공간에 머물지만 작가의 또 다른 신체는 다른 곳을 경유하고 있다. ‘심리적인 이동’, 이고 ‘심리적인 여행’인 셈이다. 다만 그 여정을 회화로 구성한다는 점에서 작가에게 그 경험의 실체를 규명하고 핍진해야 한다는 점에서 여행의 부담은 만만치 않다.
작가는 화면 속에서 어떤 여정을 진행하는가
이번 개인전에서 도드라지는 점은 기성작에 대한 ‘참조’이다. 여행의 출발은 몇 백 년 전 선배 화가들이 그린 ‘산수화’다. 곽희의 <조춘早春>, 김홍도의 금강산 이미지를 담은 <발연鉢淵>, <구룡연九龍淵>, 심사정의 <삼일포三日浦 >, <산거열락山居悅樂>, <장림운산長林雲山>, 안견의 <만동晩冬>등이다. 미술사에 대한 깊은 관심과 지식을 갖고 있지 않다면 사실상 위의 원본 이미지를 떠올린다는 것이 쉽지 않다. 즉, 원본의 강력한 권위를 바탕으로 한 개념적 접근이라고는 볼 수 없다. 작가는 오히려 한 장면 풍경으로서 산수화 자체에 매혹되었다 말한다.
그렇다면 작가는 어떤 여정을 진행하는가. 그 풍경 속으로 빠져든 작가는 자신만의 언어로 세계를 재구성해야만 한다. 작가가 그림 속을 여행하는 과정은 몇 단계의 진화를 거친다.
첫째는 원본 속에 천진난만하게 자신의 일상 풍경을 개입시킨다. 예를 들면 고즈넉한 산수화 속의 나무들은 아파트 단지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조경수’로 변신해 있거나, 원본 속의 흰 점은 도심의 ‘가로등’ 불빛으로 바뀐다.
두번째로 이러한 소소한 개입의 단계를 넘어, 작가는 신화적인 상상의 인물들(마치 히에로니무스 보쉬Hieronymus Bosch의 그림에 나오는 악마와 천사 같은)을 배치하거나 달과 폭포수 등을 등장시켜 자신만의 신화를 전개하기도 한다. 상상은 더해지고 여행은 적극적이 되어 그림 속에 작가로 추측되는 인물이 불쑥 등장하기도 한다. 심사정의 <삼일포>속 인물은 꽁꽁 언 강 위에서 스케이팅을 즐기고 있다.
또한 기존 산수화에서 아스라하게 표현된 계절감이 작가의 손을 거치면서 확연한 계절감으로 재구성되기도 한다. 원명유의<도원춘색桃源春色>을 참조한 그림은 아예 만개한 벚꽃을 그려 넣어 원본의 계절감을 바꾸고, 안견의<만동>을 참조한 그림에서도 중심이 되는 소나무에 눈이 쌓인 모습을 표현하여 한겨울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
세번째는 대략 보면 원본의 이미지를 그대로 옮겨온 듯한 느낌이지만, 뭔가 수상스러운 분위기, 심리적 분위기로 화면을 재구성한 경우라 할 수 있다. 김홍도의 <발연>을 참조한 그림에서 정 중앙에 위치한 연못은 거대한 씽크홀처럼 땅으로 꺼져있다. 산에서 흘러내려오던 물이 연못에 고였다가 다시 아래로 흘러 내려가야 하는데 작품에서 물줄기는 검은 구멍 속으로 떨어져 내리고 종적을 감춘다. 우리의 시선은 한참 동안 그 검은 구멍을 주목하게 되며 원본보다 다소 음산해진 주변 나무들과 색감과 더불어 암시적인 느낌마저 받게 된다.
작가는 선배 산수화가의 작품을 ‘방작’하고 있는가?
작가는 자신의 최근 작업에 대해서 ‘방작倣作’의 개념을 언급하였다. ‘방倣’이란 동양회화에 있어서 특수한 학습법이라 할 수 있다. 앞 시대 작품을 여러 번 옮겨 그리는 과정에서 자신만의 화법과 화풍을 개발해나가는 것이다. 안견, 정선, 김홍도 등 우리가 익히 아는 조선시대 화가들도 이러한 학습의 과정을 거쳐 자신만의 스타일을 완성해나갔다. ‘모摹’가 원본 그림 위에 종이를 한 장 덧대어 원본을 그대로 복제하는 것이라면 ‘임臨’은 원본을 옆에 두고 구도며, 필법을 따라 그리는 테크닉에 주력한 습득법이다. ‘방倣’은 임모 단계를 거쳐 어느 정도 자신만의 화법을 터득한 스타일로 이뤄지는데, 특정 대가의 필법이나 화풍을 차용하면서도 자신만의 스타일로 새로운 작품을 그리는 것을 말한다. 즉 ‘방倣’은 오마주 정신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스타일을 구축한 ‘창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런 동양 회화의 개념이 조연주 작가의 작품에 적용되는 것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첫째는 기법적으로 동양회화가 사용하는 재료와 작가가 사용하는 유화라는 재료의 차이이다. 묵의 농담과 필법이 중요한 산수화와 달리 유화는 붓의 ‘터치’와 물감의 ‘흔적’이 특징이다. 재료나 기법이 미학과 어떤 관련성을 짓는지 길게 논할 장은 아니지만 조연주 작가가 동양적 필법을 모방했다고 보이지는 않는다. 오히려 유화를 사용해 산수화 원본 이미지를 최대한 그대로 가져오려고 노력했다고 보인다.
두 번째는 산수화에 대한 태도이다. 즉 동양적 자연관이 스며있는 산수화는 한마디로 자신과 대상이 하나가 되는 경험이다. 서양의 ‘풍경화’가 대상을 철저히 소유하고 관망하고 관찰하는 대상이라면 동양의 산수화는 오히려 자연 속의 섭리와 진리, 도를 추구하는 자세라 할 수 있다. 조연주 작가는 어쩌면 산수화의 이런 정신적 맥락에 대한 오마주, 자연에 대한 태도를 그림에 담고 싶었는지 모르겠다. 작가의 재구성된 산수들은 원본의 구도와 자연감을 최대한 훼손하지 않고 옮기려 하였고, 그 안에서 절제된 방식으로 원본의 이미지와 아름다움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재구성된 산수화를 제안하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방’의 개념이 스타일보다는 이러한 자연에 대한 선배 화가의 태도에 염두를 둔 것이라면 작가의 작품을 ‘방’의 개념으로 읽는 것도 가능하다고 본다.
다시 여정 이야기로 돌아가 보자. 여행이 항상 유쾌하고 즐겁기만 한가. 좋은 추억만 남기고 돌아오는가. 오히려 우리는 그 풍경 속에서 잔인한 진실을, 혹독한 현실을, 그리고 그러한 진실 앞에서 아무것도 하지 못했던 자신의 나약함과 한계를 되돌아보지 않던가. 여행이 어차피 ‘관광’이 아니라면, 여행은 결국 자신에로 돌아오는 지난한 과정에 다름 아니다. 즉, 우리가 여정을 떠나는 이유는 자신을 찾기 위한 것이고 자신의 숨겨진 부분과 그림자를 성찰하기 위해서이다.
조연주 작가는 앞으로 더 많은 여정을 남겨두고 있다. 그 첫 시작이 불가능한 장소이든 옛 선배들이 그린 금강산의 어느 절경이든, 우리가 마주하고 싶은 것은 조연주 작가만의 대상에 투영된 감정과 시각일 것이다. 그것은 뚜렷하게 우리를 흔들어놓고 우리를 사색하게 만드는 어떤 것이어야 한다. 이번 개인전에서 나는 이런 향후 여정의 징후를 느낀다. 김홍도의 <발연>속 검은 구멍처럼 깊은 심연 속으로 우리를 끌고 들어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