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서로에게 드리워진 (2024)

​신승오 (페리지 갤러리 디렉터)

Our Overlapping Light (2024)

 

Shin ​Seung Oh (Director of Perigee Gallery)

 

Cho Yeonjoo was born and raised in South Korea, studied abroad, and currently lives and works in Scotland. The reason I mention where she is currently based at the outset is because she wants to connect the experiences she gained from where she previously stayed in the past with where she lives at the present time. Her artwork is a study of how the artist can merge the new senses she gains from altered time and space with existing senses and of how this can be visually embodied and expressed. She overlaps these – the past and present – as a single time and space and develops her work on a single surface. Therefore, we should examine the time and space she is talking about.

 

First, let’s talk about space. She says that when she is in Scotland, she thinks of South Korea, and when she stays in South Korea, even for a short while, she ends up thinking of Scotland. In this way, although the geographic distances between Korea and Scotland she thinks of are spatially distinct and separated, in reality, they are perceived as mixed and inseparable sensations contained within her inner self. And the ‘I’ that exists between the physical boundaries cannot lean to one side and so bears this mass of accumulated senses. That is why the artist does not simply assign the previous space to the past and the current space to the present, but thinks of them horizontally, unfolding them. This physical, spatial division can also be understood as temporality. Time progresses as a linear flow of past, present, and future, but in fact, when viewed from the subjective concept of temporality for humans, time remains entangled within ‘me’. Of course, the finite time of humans runs towards death from the moment of birth and there is no way to turn it back. However, humans’ lives continue due to relationships connected by generations called family. In these relationships, the various timeframes of individual members of families overlap. For example, when we are young, we are looked after by adults such as parents, but as time passes, we take care of our parents, which is an intersecting experience in the flow of time. This horizontal and vertical accumulation of time is repeated infinitely, and humans have created their own history in this way. The artist tries to capture the vertical and horizontal time and space in which she is living in her work.

 

Now, let’s talk about her work. The primary material she uses in her work is silk. Materials like silk are woven into a grid with warp and weft threads to form a single fabric. Silk is thin enough to allow light to pass through it, so it can be used on both the front and back simultaneously. The reason she uses this material is probably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silk, which enable the penetration of light. Because of this, paintings on silk give the impression of floating in the air. So why did the artist get interested in light permeability? She said that she thought a lot about windows, specifically in the space where she stayed. A window has practical purposes: to allow light into the house and to let the inhabitant/s look outside from the inside. However, the artist recognised a window as the thinnest passage and boundary that separates ‘you’ and ‘me’, preventing the inside from being seen or entered from the outside. In this way, depending on the situation, her work puts us in the position of standing in front of a transparent wall like a window. So, in this situation, we could ask, ‘Am I inside? Am I outside? Or do I want to go inside? Do I want to go outside?’ These situations can also cause conflict and concerns arising from one’s own identity and differences from others. However, the silk used by the artist, as in <My Window>, closely adheres to these boundaries, utilising the front and back simultaneously, reversing the top and bottom, and hanging them from invisible wire to blur the distinction itself. Also, as in <Inside and Outside of the Journey>, the inside and outside scenes are placed on the left and right. This work shows that she uses the characteristics of silk and the object of the window as a place to portray her inner landscapes made from her accumulated experiences, which are overlapping, gradually changing and mixing with each other, rather than the conflicting emotions from differences, as mentioned earlier. Yet, she does not always work by limiting herself to the idea of inside and outside. In <Window Underwater: Your Mossy Body Was Warm and Soft>, a landscape where the shadow of a tree cast on the water is erased by a lotus leaf floating on the water, for instance, she also draws what she felt when she met an elderly grandmother. It appears as a landscape containing the emotions of recognising a situation in which they have been placed in different locations due to the flow of time and discovery of the time that has changed each of them in a way they had not previously noticed. In this way, the situation she encounters through the course of her life, and the colourful chain of relationships formed by meeting there and at that time, become a sensory landscape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and is projected onto each other, as we see in her work.

 

Her work, filled with diverse light, appears as scenes that embrace these differences and gaps for the artist. This is not a means to sink into her inner self but to empathise with and connect with others outside. It is well expressed in <Place for Waiting>, a piece seen as separated single panes in a large window. It depicts the scene of the bright and dark colourful sky that we can see as we go about our day. Of course, the images in the painting are based on the artist’s personal experience of looking out of the window of the house in which she lives, but they are everyday images of the sky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trajectory of light that we each see on a daily basis. In addition to feeling the light of the sky in her landscapes, we find objects that indicate the existence of light, such as the sun, moon, candles, and lamps. In her work, the light that shines equally on everyone living on earth is the most essential phenomenon that connects us no matter whether we recognise it or not. Therefore, to the artist, light is perceived as a medium of connection that fills the gaps of spatial and temporal distances in her work; through a place called art, the artist subtly casts light on people so they can recognise the light that fills the gaps created by difference. If we look at her work in this way, the colours that permeated the silk in her work, or to be precise, a picture plane comprised of colours which fill the gaps between each overlapping thread, is full of light. Therefore, Cho’s method of expression makes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surface look soft and calm, yet it simultaneously looks like a meticulous, compact, thin picture plane.

 

The artist is also attempting to expand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in order to create an installation work that utilises the reflection and transmission of light in space. <Where Our Shadows Meet: I Looked at You Looking at Me> shows glimmering images depending on when and where viewers see the work; the image created by passing through coloured acrylic and holographic film looks like a landscape inside, or just sparkles of light, or a landscape outside rippling like water. In addition, the light reflected on the coloured Perspex and holographic film has a coincidental effect of being projected onto the walls or floor of the exhibition hall, which appears temporarily and then moves and disappears depending on the angle and intensity of the light. Presumably, the effect of light that appears in these various forms must be intended to capture the experience of the intersection of gazes, the overlap of your gaze and mine. However, even if such a device works, it still cannot blur or eliminat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outside and the inside. Instead, the artist’s purpose is to create a state of space-time connection that can be shared regardless of which side one is on. In other words, it shows the contrast between the colourful and unfixed liveliness of her installation work and the calm, still, and static appearance of her paintings. It delivers the flow of contrasting sensations the artist feels, the process of being covered, falling off, and being merged again into something new through an in-depth composition.

 

To summarise, to Cho Yeonjoo, the work of painting colourful landscapes of light and reflecting or capturing traces of non-visual light on something is a practical act of overlapping—connecting. Isn’t this a means to continuously experience and capture the time and space in which she has lived, is living, and will live, just like all of us, and to express her attitude and perspective on the world as it is? That is why the artist’s perceptions of the world are not turned towards distant, imaginary things but instead towards realistic landscapes; she depicts them in concrete forms, not abstract images. The reason why her work seems like an unspectacular scene of everyday life probably derives from the artist’s unconscious intention to create a landscape that is naturally permeated with others without revealing differences. The soft and familiar landscape filled with overlapping light is the sum of the artist’s non-verbal and invisible abstract senses, which are experiences that continue to grow. Of course, as I mentioned above, it i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artist’s personal environment. However, she erupts those experiences outside of herself, giving another sense to viewers in front of her work, thereby continuing to create a new connection. Also, this attitude towards space and time is probably the essence of the work she continuously tries to give us.

서로에게 드리워진

신승오 (페리지 갤러리 디렉터)

조연주는 대한민국에서 태어나 살다가 유학을 떠나 현재 스코틀랜드에서 머물며 작업을 하고 있다. 글의 서두에서 작가의 활동 지역을 굳이 언급하는 이유는 그가 작업에서 자기가 이전에 머물렀고 그 이후에 살고 있는 과거와 현재의 시공간에서 얻은 경험을 연결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이는 작가가 변화된 시공간에서 얻게 되는 새로운 감각을 기존의 감각에 어떻게 융합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것은 시각적으로 어떻게 구체화하여 표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그는 이를 하나의 시공간으로 겹쳐 하나의 화면 위에서 작업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그렇기에 우리는 그가 이야기하는 시공간이 무엇인지부터 살펴보아야 한다.

먼저 공간에 관해 이야기해 보자. 그는 스코틀랜드에서는 대한민국에 대해 생각하고, 잠시라도 대한민국에 머물게 되면 스코틀랜드를 생각하게 된다고 말한다. 이처럼 그가 생각하는 장소적 차이는 공간적으로는 멀리 떨어져 분리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자신의 내면에 담겨 있는 혼재되어 분리할 수 없는 감각으로 인식된다. 그리고 물리적인 경계로 나누어진 것 사이에 존재하는 ‘나’는 어느 한 편으로 치우치지 못하고 이러한 축적된 감각의 덩어리를 축적해 나간다. 그렇기에 작가는 이전의 공간이 과거, 지금 살고 있는 공간이 현재이지만, 그는 단순하게 이전과 이후로 나누지 않고 이를 수평적으로 펼쳐 생각하고 있다. 이런 물리적인 공간의 구분은 또 다른 한편으로는 시간성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시간이라는 것은 선형적인 과거, 현재, 미래의 흐름으로 진행되어 나가지만 사실 인간에게 주관적인 시간의 관념으로 보자면 시간은 ‘나’의 내부에 뒤엉켜 남겨져 있다. 물론 인간의 유한한 시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죽음을 향해 달려가고 이를 되돌릴 방법은 없다. 하지만 인간은 가족이라는 세대로 연결된 관계로 인해 계속해서 이어진다. 이러한 관계에는 각 구성원의 다양한 시간이 겹쳐서 나타난다. 예를 들면 인간은 어린 시절엔 부모와 같은 어른들에 의해 다양한 보살핌을 받았지만, 시간이 지나가면서 성장한 자식이 늙어버린 부모를 돌보게 되는 각자가 살아온 시간의 흐름이 교차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수평적이면서도 수직적 시간의 축적은 무한히 반복되고 있으며, 인간은 이런 방식으로 자신의 역사를 만들어 왔다. 이렇듯 작가는 그가 살고 있는 수직적이면서도 수평적인 시공간을 그의 작업에 담아내려 한다.

이제 작품에 관해 이야기해 보자. 그가 작업의 기본 재료로 삼는 것은 비단이다. 비단과 같은 천은 씨줄과 날줄이 격자로 엮이면서 하나의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비단은 빛이 투과할 수 있을 정도로 얇아서 앞과 뒤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그가 이 재료를 사용하게 된 이유는 비단의 특성 중에서 빛의 투과성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비단에 그린 그림은 공중에 떠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그럼, 작가는 왜 빛의 투과성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을까? 그는 자신이 머무는 공간에서 유독 창문에 대한 생각을 많이 했다고 한다. 집에서 빛을 내부로 받아들이기 위해서, 그리고 내부에서 밖을 내다보기 위한 실용적인 목적도 있지만, 밖에서 안을 들여다보거나 들어오지 못하게 ‘너’와 ‘나’를 구분하는 가장 얇은 통로이자 경계로 인식하였다. 이처럼 우리는 상황에 따라 창문 같은 투명한 벽을 앞에 두고 서 있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나는 안에 있는 것일까? 밖에 있는 것일까? 또는 나는 안으로 들어가고 싶은 것일까? 밖으로 나가고 싶은 것일까? 이런 상황은 자신의 정체성과 차이에서 오는 갈등과 고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작가가 사용하는 비단은 <나의 창>에서와 같이 이러한 경계를 가장 가깝게 밀착시켜 앞뒤를 활용하고 위아래를 반전시켜 배치하고 이를 공중에 매달아 놓아 구분 그 자체를 모호하게 만든다. 또한 <여정의 안과 밖>에서처럼 안과 밖의 장면이 좌우에 배치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그의 이러한 작업 시도는 위에서 언급한 차이에서 오는 갈등과 같은 감정보다는 서로 다름이 드리워져 변해가고 뒤섞이며 자신의 경험으로 계속해서 쌓여가는 내면의 풍경을 고스란히 전달할 수 있는 장소로서 비단의 특성과 창문이라는 장치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가 안과 밖이라는 공간에 국한되어 작업을 하는 것은 아니다. 물 위에 떠 있는 연잎에 의해 그곳에 드리워진 나무 그림자가 지워지는 풍경인 <물속의 창: 당신의 이끼 낀 몸은 따뜻하고 부드러웠어요>에서처럼 연로하신 할머니를 만나면서 작가가 느끼게 된 것들을 그리기도 한다. 그것은 흘러가는 시간으로 인해 서로 다른 위치가 되어버린 상황을 인식하고, 그전까지 알아차리지 못한 서로에게 영향을 미친 시간을 발견하면서 드러난 감정을 담아낸 풍경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그가 삶의 궤적에서 만나게 되는 환경 자체와 그곳, 그 시간에 만나서 형성되는 다채로운 관계의 고리는 모든 것이 시간과 공간을 넘어 그의 작업에서처럼 서로에게 드리워진 감각적 풍경이 된다.

앵커 1
ROUND SONG_July_24-10E.jpg
ROUND SONG_July_24-18_edited.jpg

​<나의 창> (왼쪽), <여정의 안과 밖> (오른쪽)

이와 같은 다양한 빛으로 가득한 작업은 작가에게 있어 이러한 차이와 간격을 아우르게 하는 하나의 장면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것은 자신의 내면으로 침잠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타자들과 공감하고 서로에게 이어지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다. 이는 커다란 창에 구분된 개별의 유리창처럼 그려진 <기다리는 자리>에서 볼 수 있듯이 누군가를 마주하기 위한 자리로서 우리가 하루를 살아가면서 볼 수 있는 밝고 어두운 다채로운 하늘의 모습이 마치 하나의 창에서 보이는 장면으로 설치된 것에서 잘 나타난다. 물론 그림의 풍경들은 작가가 머무는 집의 창문에서 바라본 개인적인 경험에서 기인한 것이지만, 우리 주변에서 발견되는 우리에게 일어나는 빛의 궤적에 따라 변해가는 일상적인 하늘의 모습이다. 그의 풍경들에서는 이처럼 하늘의 빛을 느끼게 해주는 방식 이외에도 해, 달, 촛불, 램프와 같은 빛을 의미하는 대상을 그의 작품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지구에 사는 누구에게나 동등하게 비추는 빛은 그의 작업에서 그것을 인식하든 인식하지 못하든 서로를 연결하는 가장 본질적인 현상이다. 따라서 작가에게 빛은 그의 작업에서 공간적으로, 시간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그 간격의 틈을 메우는 연결의 매개체로 인식된다. 그리고 그것은 다름의 차이라는 틈을 채우는 빛을 사람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작품이라는 장소를 통해 은근히 우리에게 드리우게 만드는 일이다. 이렇게 본다면 그의 작업에 사용된 비단에 스며든 색들, 정확하게 말하면 그것을 이루고 있는 한 올 한 올 겹친 실의 틈에 채워진 색으로 이루어진 화면 그 자체는 빛으로 가득하고 볼 수 있다. 그렇기에 이러한 작가의 표현 방식은 화면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부드럽고 차분해 보이는 동시에 치밀하고 조밀한 얇은 평면으로 다가오게 만든다.   

또한 작가는 이러한 빛이 가진 특성을 확장하여 공간 안에 빛의 반사와 투과를 이용하는 설치 작업도 시도하고 있다. <우리의 그림자가 만나는 곳: 나를 바라보는 당신을 바라보았다.>는 관람객이 언제 어디서 보는지에 따라 색이 있는 아크릴을 통과하여 홀로그램 필름에 담기는 이미지가 내부의 풍경이기도 그저 빛이 반짝이는 것으로 혹은 외부의 풍경이 물처럼 출렁거리는 것처럼 다양한 모습으로 아른거린다. 이뿐만 아니라 색 아크릴과 필름에 반사되는 빛은 전시장 벽이나 바닥에 투영되는 우연적 효과를 보이는데, 이는 빛의 각도와 밝기에 따라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위치를 옮겨 이동하다 사라진다. 이러한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 빛의 효과는 결국 내가 보는 것과 당신이 보는 시선이 교차하는 경험을 고스란히 담아내고자 하는 의도일 것이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장치가 작동한다 해도 여전히 외부와 내부의 구분을 흐리거나 제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작가는 이러한 작업을 통해 어느 쪽에 있더라도 서로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시공간의 연결 상태를 만드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그의 설치 작업이 가진 다채롭고, 고정되지 않은 생동감으로 가득한 모습과 그의 그림이 보여주는 차분하게 가라앉은 고요하고 정적인 모습이 동시에 놓이는 대비를 보여준다. 이는 그가 느끼는 상반되는 감각들이 이어지고, 덮어 씌워지거나 떨어져 나가고 다시 무엇인가로 합쳐지는 그 감각이 혼합되는 흐름을 입체적으로 구성하여 관객들에게 전달한다.

정리해 보자면 조연주에게 어떤 다채로운 빛의 풍경을 그리고 비시각적인 빛을 사용해서 무엇인가에 그 흔적을 반사하거나 담아내는 작업은 무엇인가를 드리우는 실제적인 행위이다. 이런 그의 작업 방식은 우리와 같이 그가 살아왔고, 살고 있고, 살아갈 시공간을 지속적으로 경험하고 작업으로 담아내 자신이 세상을 바라보고 대하는 태도와 관점을 고스란히 표출하기 위함은 아닐까? 그렇기에 작가가 세상을 인지하는 태도는 저 멀리 있는 아득한 상상의 것이 아니라 지극히 현실적인 풍경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추상적인 모습이 아니라 구체적인 형태로 그리는 것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그의 작업은 어떻게 보면 특별하지 않은 일상의 장면으로 보이는 것은 아마도 작가가 다름을 드러내지 않고 자연스럽게 서로에게 드리워진 풍경을 나타내고자 하는 무의식적 의도에 기인하는 것이다. 이렇게 그의 작품에 빛 드리워진 부드럽고 익숙한 풍경은 작가에게 계속해서 쌓여가는 경험들인 비언어적이고 비가시적인 추상적 감각들의 총합이다. 물론 그것은 글의 처음에서부터 언급한 작가 개인이 처한 환경에서 오는 경험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이지만, 그는 그것들을 자신의 외부로 분출시켜 자기 작품 앞에선 관객들에게 또 다른 감각을 드리우게 되어 새로운 이어짐을 계속하게 만들어 나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공간에 대한 태도야말로 그가 지속적으로 작업을 통해 우리에게 드리우고자 하는 작업의 본질일 것이다.

​<물 속의 창: 당신의 이끼낀 몸은 따뜻하고 부드러웠어요>

ROUND SONG_July_24-46.jpg

​<우리의 그림자가 만나는 곳: 나를 보는 당신을 바라보았다>

bottom of page